임신을 하면서 꼭 챙겨야 할 것 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정보과 경험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시기별 챙겨야 할 것들과 참고하면 좋을것들 , 알아두면 좋을 내용들을 알려드릴게요!
1. 임신확인서 발급받기
우선 임신 확인서란 무엇일까요?
임신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서식.임신확인서는 의사가 진찰하거나 검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여성이 임신한 사실을 증명하는 내용의 문서를 말한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임신확인서는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서' 라는 이름으로 방문한 산부인과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게는 생리예정일이 지나도 생리가 시작되지 않으면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임신 테스트기로 양성반응을 확인한 후 산부인과에 방문하게 되는데요. 병원에서 초음파로 아기집과 난황의 상태를 확인한 후 서식에 맞추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첫 발급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지만 병원에 따라 재발급 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잘 보관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테스트기의 2줄 확인을 한 뒤 생리예정일 +2일 에 방문하였지만 난황 크기가 작아서 그로부터 일주일 후 재방문하여 임신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기가 양성일 때 나타나는 선이 기준 선보다 더 진하게 나올 때 산부인과에 방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비용 때문인데요, 아래 내용에서 참고하실 수 있지만 임신확인서 발급 후 지자체에 임산부 등록이 되어야 초음파비용 보험처리 및 검사비용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병원마다 발급기준이 다르겠지만 초음파 비용이 생각보다 비싸기 때문에 초진시 지출될 초음파비용을 줄이려면 너무 급하지 않게 방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 임신확인서 등록하기
병원에서 발급받은 임신확인서와 신분증을 가지고 관할 보건소에 방문하시면 임산부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 방문하면 간단한 서류작성 및 혈압체크 후 임산부 등록이 완료되고 앞으로 필요한 정보가 담겨있는 카탈로그와 임신선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서울시 중구 보건소를 방문하여 임신축하선물 (손세정제와 치약) , 엽산제, 입덧사탕 , 임산부배지를 수령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필요할 정보가 담긴 카탈로그도 함께 챙겨주셔서 잘 읽어보고 나에게 필요한 지원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정리가 잘 되어 있고 거주하는 지자체의 가장 정확한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에 따로 챙겨주시는 카탈로그가 없다면 임산부 등록 시 담당자분께 요청해서 받아놓으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3. 임산부 지원받기 [ 맘편한 임신 , 국민행복카드 ]
3-1 국민행복카드 발급


진료비 지원, 임산부 교통비, 첫만남 이용권 등 앞으로 다양한 바우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국민 행복카드 발급과 신청은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먼저 카드사를 통해 발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간편하게 어플이나 온라인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저는 이미 삼성카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카드 어플을 통해서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카드어플 접속 - 전체메뉴 - 국민행복카드 검색 - 카드 선택 및 카드신청)

2. 관련 플랫폼 이용하기
대표적으로 베베폼, 미즈톡톡, 마미톡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카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각 플랫폼을 통해 카드를 발급하면 업체별로 각각 혜택이나 육아용품등의 혜택을 함께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동시에 마케팅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광고연락이 올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플랫폼별로 카드사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꼼꼼하게 확인 후 발급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발급받은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 서비스는 어떤 지원혜택을 가지고 있을까요?
바우처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지원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신부터 출산 및 양육까지 다양한 지원혜택이 준비되어 있으니 꼭 기억하여 지원받을 수 있도록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홈페이지 - http://www.voucher.go.kr/common/main.do

3-2 맘 편한 임신 서비스 신청하기
보건소에서 임산부등록과 국민행복카드 발급을 마쳤다면 본격적으로 받을 수 있는 지원서비스를 신청해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정부 24에 접속하여 클릭 몇 번으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부 24 홈페이지 ( http://www.gov.kr ) -맞춤형 서비스 - 원스톱서비스 - 맘 편한 임신 -맘 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으로 접속하여 나에게 필요한 서비스들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서비스별로 필요할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들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 두셨다가 필요시 같은 방법으로 접속하여 신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임신 사실 확인 후 해야 할 일들과 참고하면 좋을 정보들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이 외에도 지자체별로 혜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제가 정리해 드린 내용 확인 후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혜택들도 함께 확인해 보면 놓치는 혜택 없이 알찬 임신생활을 시작할 수 있겠습니다.
임산부 분들의 알차고 건강한 임신생활을 응원합니다!
'임신과 출산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턱받이 빕 추천 / 신생아 100일 아기 선물 / 감성턱받이 (2) | 2025.01.20 |
---|---|
임산부 KTX 할인율/ 임산부 KTX 할인등록 / 임산부 KTX 요금할인 예매하기 (5) | 2025.01.20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 서울 맘케어 / 신청방법 및 사용법 (1) | 2025.01.20 |
임신 기형아검사 종류와 시기 (임신 초기검사, 기형아검사 1차 2차 및 니프티검사, 양수검사, 정밀초음파) (0) | 2025.01.15 |
임산부 백일해 접종 ( 남편 / 가족 백일해접종 ) (0) | 2025.01.14 |